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Article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우숙이, 이현석, 홍주연, 신승렬*
Sook-Yi Woo, Hyun-Suk Lee, Ju-Yeon Hong, Seung-Ryeul Shin*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Faculty of Herbal Food Cuisine & Nutrition, Daegu Haany University, Kyungsan 38578, Korea
*E-mail:shinsr@dhu.ac.kr Phone:82-53-819-1428, FAX:82-53-819-1494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08, 2016; Revised: May 23, 2016; Accepted: May 25,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corn Sulgidduk by addition of acorn powder. Acorn Sulgidduk was processed rice powder which added 0, 5, 10, 15, and 20% of acorn powder. The moisture,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was in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but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de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soluble protein content of Sulgidduk were increased, but reducing sugar content were decreased. The L values of Sulgidduk were de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but increased the a and b values. The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ness and chewiness were de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The sensory test of Sulgidduk added 10% of acorn powder showed the best score in overall preferenc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ulgidduk added 10% of acorn powder could be applied for produce of acorn Sulgidduk.

Keywords: acorn; powder; Sulgidduk; quality characteristics; functionality

서 론

도토리(acorn)는 떡갈나무를 비롯한 졸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갈참나무, 돌참나무 등과 같은 참나무(Genus Quercus) 열매의 총칭으로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 약 28종이 자생하고 있다. 도토리는 춘궁기의 구황식품으로 오래전부 터 식용방법이 연구되었으나 근래에는 자연건강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1).

한방에서는 도토리를 가을에 열매를 딴 후 햇볕에 말려 껍질을 벗겨서 설사, 위장병에 사용한다고 하고, 민간에서 는 껍질을 달인 즙을 고환이 붓는 병과 임질 등에 사용한다 고 했으며, 위장병, 숙취, 지사작용, 잇몸질환, 강장 등의 치료제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2). 또한 저칼로리 식품으로 체중감량에도 도움을 주며 당뇨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 가 있다(3). 도토리는 특히 폴리페놀인 탄닌과 항산화 성분 인 gallic acid, digallic acid, gallotanni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고지혈증이나 지방간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 이며(4),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는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을 제거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5).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스턴트식품 이나 고열량, 고지방의 패스트푸드 섭취로 각종 성인병의 증가가 사회적으로 문제로 나타나면서 국민들의 건강증진 과 회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노년 인구 증가로 건강기 능성 식품과 같은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우리나라 식생활 양식 변화로 식생활 전반에 걸친 웰빙 개념의 도입으로 떡류가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높아 지고 있어 전통 떡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6,7). 떡은 곡물을 가루로 하여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으로 정의되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떡의 종류만도 190 여종이었으며, 제조방법과 첨가 재료에 따라 찌는 떡, 치는 떡, 지지는 떡, 삶는 떡으로 구분된다. 떡은 첨가재료를 달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일 뿐 아니라 재료로부터 오는 색깔이나 모양도 다양해 보기에도 훌륭하 며, 생리적 기능이 있는 여러 가지 재료들을 첨가하면 건강 식품으로도 손색이 없는 고유한 전통식품이다(8,9). 설기떡 에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한 연구로는 클로렐라(10), 떫은감 분말(11), 알로에(12), 대두가루(13), 생고구마(14), 복분자 잎(15), 마분말(16)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직특 성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도토리 분말을 첨가 한 설기떡의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하고 우수한 약리활성을 가진 도 토리 분말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도토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일반성분, 색도 특성,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 하여 도토리 설기떡의 기능성 향상과 더불어 도토리의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 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본 연구의 주재료인 도토리는 2013년 9월에 경북 지역 일대에서 직접 채취하였으며, 도토리에 뭍은 이물질을 제 거 및 세척하였다. 도토리 분말은 분쇄기(AMS330TS, Shinil, Seoul, Korea)로 40 mesh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제조 된 시료는 일정량으로 분취하여 -75℃ deep freezer(MDFU52V, Sanyo, Osaka, Japan)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도토리 분말 배합비율은 예비실험을 통하여 Table 1과 같은 기본 배합비로 하였다. 쌀(일반미, 철원), 소금(정제염, 대 상), 물(제주삼다수), 설탕(정백당, CJ)를 대형마트에서 구 입하여 사용하였다.

Table 1. Formulas for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Ingredients (g) Rate of acorn powder (%)
0 5 10 15 20
Rice flour (g) 200 190 180 170 160
Acorn powder (g) 0 10 20 30 40
Water (g) 60 60 60 60 60
Sugar (g) 26 26 26 26 26
Salt (g) 2.6 2.6 2.6 2.6 2.6
Download Excel Table
설기떡의 제조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 제조를 위한 시료는 쌀가 루 100 g을 기준으로 설탕 13%, 소금 1.3%, 물 15%을 첨가 하였고, 또한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은 쌀가루 기준 0, 5, 10, 15, 20%를 각각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쌀을 씻어 12시간 침지한 다음 쌀가루를 만들었고, 도토리분말과 소금을 혼 합하여 체에 내린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설기떡 제조는 스텐레스 스틸 이중 찜 솥을 사용하였으 며, 틀에 면보자기를 깔고, 떡가루를 넣은 후 김이 오르고 난 후 15분간 가열하며, 5분간 뜸을 들였다. 찐 설기떡은 꺼내어 60분간 방냉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시료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 방법(17)에 따라 행하였 다. 즉, 수분함량은 도토리 설기떡을 일정하게 취하여 상압 건조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Kjeldahl 법 으로 조단백 자동분석장치(Foss KjeltecTM 2300, FOSS, Hoganas, Sweden)로 측정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Soxhlet 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조회분 정량은 직접 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시료 전체 100%으로 하여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을 감한 것을 탄수화물 함량(%)으로 하였다.

수용성 단백질

도토리 설기떡의 수용성 단백질은 설기떡 50 g을 증류수 200 mL를 가하여 마쇄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 리하고 상층액만 여과지로 여과한 뒤 250 mL로 정용하였 다.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Lowry 등의 방법(18)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시료 0.2 mL를 시험관에 취하고 혼합시약 (A:B = 50:1)을 1 mL첨가하여 30℃에서 10분간 반응시켰 다. 여기에 0.1 mL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한 뒤 다시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 (UV-2001, Hitachi, Tokyo, Japan)를 사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ovine serum albumin(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으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에 의해 단백질의 함량을 산출하여 시료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

도토리 설기떡의 환원당 함량은 설기떡 50 g에 증류수 200 mL를 가하여 마쇄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 리하고 상층액만 여과지로 흡입하고 여과한 뒤 250 mL 로 정용한 후 이것을 시료액으로 하여 Somogi-Nelson법 (19)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시료액 1 mL에 시약 A액(무수 Na2HPO4 25 g, Rochelle염 25 g, NaHCO3 20 g, 무수 Na2SO4 200 g을 증류수 1 L에 용해한 액)과 시약 B액(CuSO4․5H2O 30 g과 4방울의 진한 황산을 첨가한 증류수 200 mL에 용해 한 액)을 25 : 1로 혼합한 액을 0.5 mL 첨가하여 20분간 가열한 뒤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C액(ammonium molybdate 25 g을 진한 황산 21 mL를 포함하는 증류수 450 mL에 용해하고 sodium arsenate dibasic 3 g을 증류수 25 mL에 용해한 후 혼합한 액)을 1 mL를 첨가해서 실온에서 방치 후 증류수 5 mL를 혼합해서 분광광도계(UV-2001, Hitachi, Tokyo, Japan)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당 산출은 glucose 검량선에 의해 glucose의 함량을 산출하여 환원당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도토리 설기떡의 색도 측정은 colormeter(CM-3600d, Minolt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것을 Hunter 값 즉,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 (b, yellowness)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표준 백색판 (standard plate)은 기기의 사용법에 따라 값을 3회 반복 측정 하였으며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조직감 측정

도토리 설기떡의 조직감 측정은 물성측정기(COMPAC- 100Ⅱ, Compa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 정조건에서 test type은 mastication test, distance 5 mm, plunger diameter 15 mm, adaptor type circle, table speed 60 mm/sec, load cell (max) 2 kg의 조건으로 3회 반복 측정하 였다. 시료 중심부에 2회 연속 측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값을 산출하여경도,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을측정하였다.

관능검사

도토리 설기떡의 관능검사는 Park 등(20)이 행한 방법을 응용하였으며, 대학생 20명을 관능검사원으로 선정하여 관 능검사를 실시하기 전 각각의 항목에 대해 잘 인지하도록 충분히 설명하고 훈련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 검사에 앞서 각 시료마다 무작위로 조합된 3자리 숫자가 주어졌으며, 시료 번호가 쓰인 접시에 담아 제시하였다. 검사 방법은 7점 척도법을 사용하고 각 평가 항목별(1점 매우 나쁘다, 2점 조금 나쁘다, 3점 나쁘다, 4점 보통, 5점 좋다 6점 조금 좋다, 7점 매우 좋다)로 평가되었다. 평가항 목은 색, 맛, 떫은 정도, 향, 질감, 전체적 기호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한 개의 시료를 평가 후 반드시 생수로 입안 을 헹구고 다른 시료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통계처리

Park(21)의 방법을 응용하여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였고,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각 실험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실시하여 p<0.05에서 유의성을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일반성분의 변화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및 20%로 제조한 설기떡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도토 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수분함량은 40.15~ 44.42%로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은 증가함을 보였고, 이는 부재료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는 다시마첨가 설기떡(22)과 차수 수가루 첨가 설기떡(23), 단호박 설기떡(24)의 연구와 유사 한 경향을 보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53.48~57.63%로 도토 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보였고, 조단백질 의 함량은 0.75~1.24%로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보였다. 조지방의 함량은 0.03~0.10%로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보였고, 조회분의 함량은 0.95~1.24%로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 에 따른 설기떡의 일반성분 함량은 도토리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에 따른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Table 2. General components content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Components Rate of acorn powder (%)1)
0 5 10 15 20
Moisture 40.15±0.482)e3) 41.26±0.48d 42.57±0.33c 43.40±0.34b 44.42±0.48a
Carbohydrate 57.63±0.77a 56.82±1.25a 55.46±0.54b 54.51±0.68bc 53.48±0.96c
Crude protein 1.24±0.26a 0.87±0.72a 0.80±0.17a 0.81±0.30a 0.75±0.44a
Crude lipid 0.03±0.00e 0.05±0.00d 0.07±0.00c 0.09±0.00b 0.10±0.00a
Crude ash 0.95±0.03c 1.00±0.05c 1.10±0.07b 1.18±0.09a 1.24±0.11a

Table 1. Formulas for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All value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수용성 단백질 및 환원당 함량

도토리 설기떡의 수용성 단백질 및 환원당 함량은 Table 3과 같다.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 결과 0.10~0.81 g/100 g로 도토리 분말의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증가함을 보였 다. 도토리 분말 무첨가구에서 수용성 단백질 함량이 0.10 g/100 g로 가장 낮았으며, 도토리 분말 5% 첨가한 설기떡에 서는 0.18 g/100 g,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0.23 g/100 g, 도토리 분말 15%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0.43 g/100 g, 도토리 분말 20%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0.81 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용성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Table 3. Soluble protein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Rate of acorn powder (%)1) Soluble protein (g/100g) Reducing sugar (g/100g)
0 0.10±0.002)e3) 5.12±0.002)a3)
5 0.18±0.00d 4.85±0.01b
10 0.23±0.01c 4.10±0.00c
15 0.43±0.01b 3.81±0.00d
20 0.81±0.03a 2.54±0.01e

Table 1. Formulas for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All value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환원당 함량 결과, 2.54~5.12 g/100 g로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환원당 함량은 감소함을 보였다. 도토리 분말의 무첨 가구에서 환원당 함량은 5.12 g/100 g로 가장 높았으며, 도토리 분말 5%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4.85 g/100 g,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4.10 g/100 g, 도토리 분말 15%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3.81 g/100 g, 도토리 분말 20% 첨가한 설기떡에서는 2.54 g/100 g으로 가장 낮은 환원당 함량을 보였다.

색 도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색도 측정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무첨가 구가 84.9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토리 분말 첨가구에 서는 54.13~36.33으로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wang(25)이 연구한 설기떡 제조시 분말을 포함한 다른 부재료를 첨가하 여 떡을 제조할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며, 설기떡 제조시 부재 료 첨가함에 따라 멥쌀로만 만든 설기떡에 비해 L값이 감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도토리 분말을 첨가할수록 높게 나타나 도토리 분말 20% 첨가한 설기떡에서 8.23으로 높은 적색도를 보였다. 황색도를 나타 내는 b값은 무첨가구가 3.84로 가장 낮았으며, 도토리 분말 20% 첨가한 설기떡이 13.42로 높게 나타나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Rha 등(15)이 연구한 복분자 잎 분말첨가 설기떡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황색도는 증가하는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able 4. Hunter ’s color value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Rate ofacorn powder (%)1) Hunter ’s color value
L a b
0 84.90±0.322)a3) 2.08±0.01d 3.84±0.18c
5 54.13±1.02b 6.84±0.21c 10.92±0.74b
10 43.36±1.61c 7.96±0.06b 11.17±1.61b
15 36.29±1.89d 8.03±0.22ab 13.08±0.22a
20 36.33±1.30d 8.23±0.03a 13.42±0.36a

Table 1. Formulas for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All value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조직감 측정

도토리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조직감 측정 결 과는 Table 5와 같다. 경도는 무첨가구가 0.84 kg/cm2으로 가장 높았으며,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은 0.58~0.48 kg/cm2으로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Yoon(26)이 연구한 연 잎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연구에서 연잎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낮아지는 결과와 유사한 결과 를 보여주었다. 부착성은 무첨가구에서 38.19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부착성 은 감소함을 보였고, 응집성은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증가함을 보이다가 도토리 분말 첨가량 15% 이상부 터는 감소함을 보였다. 탄력성은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 가할수록 높아졌으며, 도토리 분말 20% 첨가하였을 때는 감소함을 보였다. 씹힘성은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0.58~0.31 kg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Kang과 Kim(27)이 연구한 곰취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연구에서 곰취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씹힘성 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 를 종합해보면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설기떡 은 부드러운 질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5. Textural propertie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Rate of acornpowder (%)1) Texture parameters
Hardness (kg/cm2) Adhesiveness(g) Co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kg)
0 0.84±0.122)a3) 38.19±3.43a 57.94±3.94ab 66.02±3.13c 0.58±0.05a
5 0.58±0.09b 23.75±9.45b 55.55±2.03ab 62.55±1.01c 0.38±0.15b
10 0.57±0.07b 25.25±4.11b 59.01±5.70a 70.70±1.18b 0.36±0.06b
15 0.53±0.06b 24.31±2.54b 53.44±2.44ab 78.68±2.53a 0.31±0.03b
20 0.48±0.05b 20.47±3.35b 51.14±3.11b 65.21±2.52c 0.31±0.04b

Table 1. Formulas for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All value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관능검사

도토리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색도는 도토리 분말 15% 첨가한 설기떡이 6.2로 가장 높았고, 10% > 5% > 20% > 0% 순으로 평가되었 으며, 맛은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이 5.7로 가장 높았고, 떫은 맛은 도토리 분말 20% 첨가한 설기떡에서 가장 떫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은 도토리 분말 10% 첨가 한 설기떡에서 5.5로 높았고, 도토리 분말 15% 첨가한 설기 떡에서 5.4로 나타났으며, 질감은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에서 5.7로 가장 높았고, 도토리 분말 20% 첨가한 설기떡에서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에서 6.3으로 가장 높았고 15% > 5%> 0% > 20% 순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도토리 분말 10% 첨가 설기떡이 전반적인 관능평가에서 다른 설기떡 비해 높게 평가되었으며, 설기떡 제조시 기호도 향상을 나 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Sensory test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Components Rate of acorn powder (%)1)
0 5 10 15 20
Color 5.2±1.032)a3) 5.3±1.06a 5.6±0.97a 6.2±0.92a 5.2±1.48a
Taste 4.8±0.63ab 4.9±0.99ab 5.7±1.42a 5.4±1.17a 4.3±1.06b
Astringency 3.1±0.32c 4.2±0.42b 4.8±0.79ab 4.9±0.74ab 5.0±1.33a
Flavor 5.1±1.20a 5.1±1.06a 5.5±1.18a 5.4±1.07a 5.1±1.20a
Texture 5.0±0.82ab 5.2±1.03ab 5.7±1.06a 5.4±0.84ab 4.6±0.70b
Overall preference 4.8±1.23bc 5.5±0.71abc 6.3±0.82a 5.7±0.95ab 4.5±1.51c

Table 1. Formulas for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All value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요 약

본 연구는 쌀가루 대비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20%로 설기떡을 제조한 후, 일반성분 함량, 수용 성 단백질, 환원당,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여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40.15~44.42%로 도토 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은 증가함을 보였 고, 탄수화물 및 조단백질의 함량은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보였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도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보였다. 수 용성 단백질 함량은 0.10~0.81 g/100 g으로 도토리 분말 무첨가구에 비해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단백질 함량도 증가함을 보였고, 환원당 함량은 도토리 분 말 무첨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환원당 함량은 감소함을 보였다. 색도측정 결과 L값 은 54.13~36.33으로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 b값은 도토리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 측정 결과, 경도 및 씹힘성은 도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은 도토리 분말 15% 첨가한 설기떡이 가장 기호도 가 높았고, 맛과 향,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에서 가장 높았으며, 15% > 5%> 0% > 20% 순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도토리 분말 10% 첨가한 설기떡이 전반적인 관능평가에서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으며, 설기떡 제조시 기호도 향상을 나 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다양한 제품에 도토리 분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Lee YM. 1995; We really need to know our one hundred kinds of trees. HyeonamsaSeoul, Korea p. 394-398.

2.

Lee JM, Kim SH. 2008; Antioxidant properties of acorn hot wat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5 p. 111-117.

3.

Sung IS, Kim MJ, Cho SY. 1997;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p. 327-333.

4.

Shin TH, Kim YS, Sa JH, Shin IC, Heo SI, Wang MH. 2004;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p. 800-803.

5.

Kim BN. 1995; A study on the literature review of acorn in korea.. Korean J Food Cook Sci. 11 p. 158-163.

6.

Park ID. 2008; Effects of Cucurbita maxima Duchesne pure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and sponge cakes.. Korean J Food Culture. 23 p. 748-754.

7.

Hyun YH, Hwang YK, Lee Y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apioca flour.. Korean J Food Nutr. 18 p. 103-108.

8.

Ryu GH, Park JY, Koo BY, Song DS, Lim MS. 2005; Korean rice cake for manufactor and process engineer.Hyoil PublishersSeoul p. 13.

9.

Cha GH, Lee HG. 2001;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time of Daechu-Injeulmi added with various levels of chopping jujube.. Korean J Soc Food Sci. 17 p. 29-42.

10.

Park MK, Lee JM, Park CH, In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chlorell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p. 225-229.

11.

Kim GY, Moon HK, Lee SW.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by addition of astringent persimm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p. 697-702.

12.

Hwang SJ, Yoon S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loe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2 p. 650-658.

13.

Kweon SY, Kim JM, Kim JG.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soy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p. 118-124.

14.

Oh HE,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fresh sweet potato..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p. 501-510.

15.

Rha YA, Kang BN. 2014; Quality evaluation of Sulg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leaf powde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 p. 128-135

16.

Kim JS, Byun GI. 2009; Making fish paste with yam (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5 p. 57-69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25-132

18.

Lowry OH, Rosebrough NJ, Farr LA,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p. 265-275.

19.

Nelson N. 1994; A photometric adoption of the Somog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p. 375-381.

20.

Park BH, Joo HM, Cho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add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9 p. 205-211

21.

Park WP.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1 p. 34-39

22.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 Sci. 22 p. 37-44.

23.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2 p. 363-369.

24.

Yoon SJ. 1999;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Korean J Food Cook Sci. 15 p. 586-590.

25.

Hwang S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 rice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r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 p. 488-494

26.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3 p. 433-442.

27.

Kang YS, Kim J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p. 277-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