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Article

식품원료용 귀뚜라미 분말의 저장 중 품질특성 및 유통기한 설정

김대현1, 김은미1, 장윤제1, 안미영2, 이용환1, 박진주1, 임정호1,*http://orcid.org/0000-0002-4806-2046
Dae-Hyun Kim1, Eun-Mi Kim1, Yoon-Je Chang1, Mi-Young Ahn2, Yong-Hwan Lee1, Jin Ju Park1, Jeong-Ho Lim1,*http://orcid.org/0000-0002-4806-2046
1한국식품연구원
2농촌진흥청
1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Seongnam 13539, Korea
2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Jeonju 54875, Korea
*Corresponding author. E-mail:jhlim@kfri.re.krPhone:82-31-780-9331, Fax:82-31-780-9333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Dec 22, 2015; Revised: Feb 29, 2016; Accepted: Mar 04, 2016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helf-life of cricket powder and investigate the changes in its qualityduring storage. To determine the shelf-life, cricket powder was stored at temperatures of 25, 35, and 40℃ for 6 months. The changes in quality parameters of the cricket powder, such as moisture content, color, acid value, volatile base nitrogen (VBN), fatty acid,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sensory appeal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ricket powder increased during storage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6 months of storage. L value was increased at 25℃ storage but decreased at 35 and 40℃.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in a and b values. The acid value decreased more rapidly at higher temperatures, while the VBN content was not changed. The major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cricket powder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Their content was not changed at various the storage temperatures. No aerobic and coliform bacteria grew in the powder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 Cricket powder stored at 25℃ and 35℃ showed similar scores in sensory evaluation, but it storaged at 40℃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05). Moisture content, acid value, oleic acid, and flavor were selected as the criteria for shelf-life establishment of cricket powder. Based on these parameters, especially the moisture content, the shelf life of cricket powder was likely to be 18 months when stored at 25℃.

Keywords: Gryllus bimaculatus; cricket; edible insect; shelf-life; quality

서 론

현대의 식량문제는 기후변화와 곡물의 생산, 분배, 소비량의 증가로 인한 곡물공급의 불균형과 동물 단백질의 가격 상승 및 수요 충족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로 대두된다(1).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가축보다 적은 양의 온실가스와 암모니아를 배출하고 넓은 사육지가 필요 없으며, 소의 1/12과 돼지의 1/2에 해당하는 사료만으로 같은 양의 단백질을 만 들 수 있는 곤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3).

최근 국내에서는 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식품원료 및 의약용품 등에 대한 소재화 연구 등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4,5,6).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등록 된 식용곤충은 벼메뚜기(Oxya japonica THUNBERG) 및 누에(Bombyx mori)가 있으며(7), 가공제품 및 기능성 신소 재 등의 자원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8,9,10). 한시적 식품원료로 인증을 받은 식용곤충은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및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가 있으며, 최근 곤충의 식용화를 위한 연구를 통하여 쌍별 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가 추가 인증을 받았다.

한시적 식품원료로 인증 받은 쌍별 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메뚜기목(Orthoptera) 귀뚜라미과(Gryllidae) 에 속하며, 불포화지방산 및 필수지방산을 함유하고 단백 질 함량이 높아 식품으로서 이용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11,12,13). 또한, 결석 치료 및 이뇨제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일본에서는 설사, 이질 및 장티푸스를 치료하는데 사용하 였으며(14), 면역력 증가의 효과적인 원료로도 연구되었다 (15).

식품원료로서 귀뚜라미는 표준화된 제조기준으로 인정을 받았으나 이에 대한 가공 및 유통안정에 대한 선행연구 가 부족한 실정이다. 가공 처리과정 및 저장 상태가 식용곤 충의 식품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됨으로써 (16), 본 연구는 귀뚜라미의 표준화된 분말 제조조건에서 제조된 귀뚜라미 소재의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품질지표를 확인하였으며 권장유통기한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 료

본 연구에 사용된 귀뚜라미는 2014년도에 표준화된 시설에서 사육된 귀뚜라미를 채집하여 3일간의 배변 기간을 거친 후 동결(-18℃)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귀뚜라미 분말 제조

동결 귀뚜라미에 증류수를 0.5배 가한 뒤 고압증기멸균기(MLS-3780, Sanyo Electric Co., Ltd, Osaka, Japan)를 이용 하여 105℃에서 1분간 멸균하고 동결건조기(TD5508 Freeze dryer, Inshin lab. Co., Ltd, Seoul, Korea)를 이용하여 트랩온도 –70℃ 이하 및 진공 10 m Torr 이하에서 72시간 이상 동결 건조하였다. 이후 분쇄기(HGB2WTS3, Waring products Inc., Torrington, CT, USA)를 이용하여 분쇄한 뒤 20 mesh 망을 통과시키고 주정(Daejung Co., Ltd, Korea)에 3시간 침지 후 70℃의 열풍건조기(HSC-150, SinAn Co., Korea)에서 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귀뚜라미 분말은 AL/PET/LLDPE 적층필름(130 mm×200 mm, 0.1 mm)에 100±10 g씩 열접합 포장하였으며 25, 35 및 40℃에서 6개월 간 저장하며 한 달 간격으로 실험하였다.

수 분

수분함량은 AOAC(17)법에 따라 105℃ 상압가열 건조법으로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색 도

귀뚜라미 분말의 색도는 표준 백색판(L=97.79, a=-0.38,b=2.05)으로 보정된 Colorimeter(CR-400, Minolta Co, Osaka, Japan)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10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이용하였으며, Hunter‘s color에 의한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값을 나타내었다.

산 가

시료를 취하여 ethanol-ether 혼합액(1:2, v/v) 100 mL에녹인 후 phenolphthalein을 지시약으로 하여 0.1 N KOH/ethanol성 용액으로 적정하여 시료 1 g 중의 유리 지방 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mg을 산가로 표시하였다.

VBN

VBN(volatile base nitrogen)함량은 식품공전(18)에 따라시료 10 g에 증류수 50 mL를 가하여 1시간 침출하였다. 침출액을 여과한 뒤 황산을 이용하여 약산성으로 중화시킨 후 100 mL로 정용하였다. Conway unit 외실에 상기 여과액 1 mL를 넣고 내실에 0.01 N-H2SO4 1 mL를 정밀하게 넣었 다. K2CO3 포화용액을 외실에 넣고 덮개를 덮어 잘 섞어 25℃에서 한 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H2SO4 용액에 Brunswik 시액 한 방울을 넣고 0.01 N-NaOH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지방산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Shimadzu사의 GC-2010(Shimadzu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olch 등(19)의 방법에 따라 chloroform과 methanol을 2:1(v/v)의 비율로 섞 은 용액으로 귀뚜라미 분말의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추출 된 지질은 Morrison과 Smith(20)의 방법에 준하여 전처리 후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injector 온도 260℃, detector 온도 270℃, detector는 FID이었으며, column은 SP2560(100 m×0.25 mm×0.20 μm, Supelco Inc., Bellefonte, PA)을 사용 하였다.

미생물

시료에 멸균한 0.85% sodium chloride를 가하여 10-fold희석법으로 단계별로 희석하였다. 각 단계별 희석액 1 mL 를 취하여 일반세균 및 대장균/대장균군 3M Petrifilm (PetrifilmTM, 3M, St Paul, Minn., USA)에 각각 접종하였다. 35℃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colony를 계수하여 CFU/g으로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귀뚜라미 분말을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한 달 간격으로외관(appearance), 향(flavor), 이취(off-flavor), 전반적 기호 도(overall acceptability)를 검사하였다. 관능검사 요원의 구 성은 귀뚜라미 분말의 향 및 이취에 대한 차이식별 능력이 있는 평가원 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각각의 온도별 시료는 25℃조건에서 30분 보관 후 투명 유리용기에 15~20 g을 담아 제공하였으며, 9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이취 를 제외한 구들은 9점은 매우 좋음, 1점은 매우 나쁨 이라고 표시하였으며, 이취는 1점은 매우 약함, 9점은 매우 강함 이라고 표시하였다.

자가규격 설정 및 유통기한 설정

자가규격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에 관한 규정(21) 및 식품공전(18)의 규격 외 일반가공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참고하여 수분, 산가, oleic acid 및 관능검사에 대한 자가규격을 설정하였다. 유통기한 설정은 품질지표로서 적 합한 실험값을 VSLSF(Visual Shelf Life Simulator for Foods)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산출하였다. 저장온도를 3개 (25, 35 및 40℃)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실험 주기는 1개월 단위로 6개월 동안 실험하였다. 산출된 유통기한에 안전계 수 0.8을 곱하여 유통기한을 설정하였다.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SPSS Inc, Chicago IL, USA) software package 프로그램 중에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유의성이 있는 경 우에 Duncan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으로 시료간의 유의차를 검증하였다(p<0.05).

결과 및 고찰

수분함량

귀뚜라미 분말의 수분함량 변화는 Fig. 1에 나타내었다.동결건조 분말의 초기 수분함량은 2.52%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동결건조 후 추가 공정으로 열풍건조를 실시한 결과라 생각된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구의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5℃에서는 저장기간 중 2.52~2.96%의 변화폭을 나타내었다. 40℃에서 는 저장 한 달 뒤 2.92%를 나타내었으나, 35℃에서는 4개월 후 2.92%를 나타내었다. 저장 6개월 후 25, 35 및 40℃의 수분함량은 2.91, 3.07 및 3.07%로 나타났으나, 온도별 유의 적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저장기간 및 온도가 증가 할수록 동결건조분말의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Jeong 등(22) 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건 조식품 안정에 중요한 요소로서 수분함량이 증가할 경우 품질저하 및 미생물 증식의 원인으로 작용(23)하기 때문에 유통기한 설정지표로 판단하였다.

441-g1
Fig. 1. Changes in moisture content of cricket powder dur ingstorage at 25, 35, and 40℃. Dots and vertical bars represent the means±SD.
Download Original Figure
색 도

귀뚜라미 분말의 저장기간 중 색도 변화는 Fig. 2에 나타내었다. L value의 초기값은 55.00이었으며 25℃에서는 저 장기간 동안 소폭 상승하였나, 35 및 40℃에서는 감소하였 다. 저장 6개월 뒤 25, 35 및 40℃에서는 56.75, 53.98 및 54.22를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a value의 초기값은 4.19였으며 모든 구에서 저장기간 중 감소하였다. 25℃에서는 저장 6개월 뒤 4.06을 나타낸 반면, 35 및 40℃에서는 3.68 및 3.87을 나타내어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b value의 초기값은 8.01을 나타냈으며 모든 구에서 저장기간 중 감소 하였다. 25℃에서는 6개월 뒤 7.81을 나타낸 반면, 35 및 40℃에서는 6.51 및 6.68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색도의 변화는 저장 온도별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변화가 미비하여 유통기한 설정지표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산가 및 VBN

귀뚜라미 분말의 산가는 Fig. 3에 나타내었다. 초기 산가는 1.83 mg KOH/g을 나타냈으며, 모든 구에서 저장기간 중 증가하였다. 저장 6개월 뒤 25, 35 및 40℃에서는 1.93, 2.04 및 2.15 mg KOH/g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구에서 유의 적 차이(p<0.05)가 있었다.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산가의 증 가폭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hung 등(24)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가는 식품 내 존 재하는 유지가 가수분해되어 형성되는 유리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유지의 산패를 측정하며, 유리지방산의 생성은 유지의 자동산화를 촉진하여 제품의 품질 및 관능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25) 유통기한 설정지표로 판단하였다.

귀뚜라미 분말의 VBN함량(data not shown)은 초기 1.40mg%를 나타내었다. 이후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변화 없이 초기값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VBN 시험법은 주로 어육의 선도(26)를 판정하며, 귀뚜라미 분말의 유통기 한 설정지표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441-g2
Fig. 2. Changes in Hunter 's color values of cr icket powder dur ing storage at 25, 35, and 40℃. Dots and vertical bars represent the means±SD.
Download Original Figure
441-g3
Fig. 3. Changes in acid value of cr icket powder dur ing storage at25, 35, and 40℃. Dots and vertical bars represent means±SD.
Download Original Figure
지방산 함량

귀뚜라미의 지방산 함량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지방산함량은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 및 palmitic acid(C16:0)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Hutchins과 Martin(27), Grapes 등(28)과 Kim과 Jung(29)이 조사한 연구 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 귀뚜라미 분말의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 함량은 각각 24.79, 28.58 및 28.55 g/100 g을 나타내었다. Palmitic acid의 경우 저장기간 중 소폭 상승하였으나 25 및 40℃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35℃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Oleic acid의 경우 모든 구에서 저장 중 감소하였으나, 저장 6개월 차에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Linoleic acid의 경우 저장 중 감소하였으나, 저장 6개월 뒤 35℃에서의 함량 이 28.01 g/100 g으로 가장 낮았으며, 25 및 40℃에서 28.11 및 28.51 g/100 g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른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oleic acid를 유통기한 설정 지표로 판단하였다.

Table 1. Changes in fatty acid content of cr icket powder during storage at 25, 35, and 40℃ (Unit: g/100 g)
Fattyacid Temp (℃) Storage period (months)
0 1 2 3 4 5 6
Palmiticacid 25℃ 24.79±0.281)ab2)A3) 25.10±0.27cA 25.08±0.05cA 24.91±0.04bcA 24.57±0.03aA 25.06±0.05bcB 24.96±0.04bcA
35℃ 24.79±0.28aA 25.19±0.03bA 25.05±0.09bA 25.01±0.06bB 25.01±0.06bB 25.09±0.04bB 25.11±0.06bB
40℃ 24.79±0.28abA 25.28±0.01dA 25.03±0.02cA 24.98±0.02bcAB 24.63±0.02aA 24.91±0.05bcA 24.92±0.01bcA
Oleicacid 25℃ 28.58±0.53aA 28.58±0.78aA 28.51±0.08aA 28.58±0.01aB 28.60±0.06aB 28.65±0.03aB 28.49±0.04aA
35℃ 28.58±0.53aA 28.56±0.01aA 28.52±0.04aA 28.53±0.04aAB 28.47±0.05aA 28.51±0.01aA 28.47±0.01aA
40℃ 28.58±0.53aA 28.57±0.02aA 28.54±0.03aA 28.49±0.04aA 28.53±0.00aAB 28.48±0.02aA 28.46±0.06aA
Linoleicacid 25℃ 28.55±0.57bcdA 29.00±0.34dB 28.49±0.08abcA 28.64±0.05cdC 28.54±0.02bcdB 28.04±0.02aB 28.11±0.01abB
35℃ 28.55±0.57cdA 28.76±0.01dAB 28.33±0.13bcA 28.12±0.02abA 27.99±0.02abA 27.84±0.01aA 28.01±0.04abA
40℃ 28.55±0.57aA 28.57±0.03aA 28.31±0.03aA 28.45±0.01aB 28.72±0.02aC 28.52±0.03aC 28.51±0.03aC

Values are means±SD.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Download Excel Table
미생물

귀뚜라미 분말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data not shown)은 초기부터 6개월까지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선행연구를 통해 귀뚜라미 분말의 미생물 변화를 검토한 결과라고 생각 된다. 선행연구로는 본 논문과 동일하게 전처리 후 고압증 기멸균기를 이용하여 70℃-30분, 105℃-1분 및 121℃-15분 간 처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조건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 지 않았으나, 일반세균수의 경우 70℃에서 30분 동안 처리 할 경우 1.9×105 CFU/g을 나타낸 반면, 105℃-1분 및 121℃ -15분간 처리 할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식품원료화 흰점박이꽃무지의 고온고압멸균 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은 결과(5)와 유사하였다. 이에 따라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 에 따른 변화 없이 초기값을 유지한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 의 실험 결과는 유통기한 설정지표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 였다.

관능검사

귀뚜라미 분말의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외관(appearance)의 경우 저장 6개월 뒤 25 및 35℃에서는 8.75 및 8.50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40℃의 경우 7.25 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향(flavor)의 경우 저장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6개월 차에 25 및 35℃에 서는 8.25 및 8.00을 나타내었으나, 40℃의 경우 6.25를 나타 내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이는 높은 저장온 도에서 귀뚜라미 특유의 향이 강해진 것으로 판단되며, 4 0℃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고소한 향이 증가되는 식 용 갈색거저리 유충과는 상반된 결과이다(24).

Table 2. Changes in sensory character istics of cr icket powder during storage at 25, 35, and 40℃
Sensory property Storage temp(℃) Storage period (months)
0 1 2 3 4 5 6
Appearance 25 9.00±0.001)a2)A3) 8.50±0.84aA 8.50±0.58aA 8.50±0.58aA 8.75±0.50aB 8.75±0.50aB 8.75±0.50aB
35 9.00±0.00aA 8.50±0.84aA 8.50±0.58aA 8.50±0.58aA 8.25±0.50aAB 8.75±0.50aB 8.50±0.58aB
40 9.00±0.00cA 8.67±0.82cA 8.50±0.58bcA 8.25±0.50abcA 7.50±0.58abA 7.25±0.96aA 7.25±0.96aA
Flavor 25 9.00±0.00bA 8.50±0.55abA 8.00±0.00aA 8.25±0.50abA 8.75±0.50abB 8.25±0.96abB 8.25±0.50abB
35 9.00±0.00bA 8.50±0.84abA 8.00±0.00aA 8.00±0.82aA 7.75±0.50aA 7.75±0.50aB 8.00±0.82aB
40 9.00±0.00dA 8.17±1.60cdA 7.75±0.50bcdA 7.75±0.96bcdA 7.00±0.82abcA 6.00±0.82aA 6.25±0.96abA
Off-flavor 25 1.00±0.00aA 1.33±0.52aA 1.50±0.58aA 1.25±0.50aA 1.00±0.00aA 1.25±0.50aA 1.25±0.50aA
35 1.00±0.00aA 1.00±0.00aA 1.75±0.96aA 1.25±0.50aA 1.50±0.58aA 1.25±0.50aA 1.25±0.50aA
40 1.00±0.00aA 1.50±0.84aA 1.50±0.58aA 1.50±0.58aA 2.75±0.96bB 3.75±0.58cB 3.50±0.58bcB
Overall acceptance 25 9.00±0.00aA 8.50±0.55aA 8.25±0.50aA 8.25±0.96aA 8.50±0.58aB 8.00±0.82aB 8.00±0.82aB
35 9.00±0.00bA 8.67±0.52abA 8.00±0.82bA 8.25±0.50abA 7.75±0.50aB 8.00±0.82aB 8.00±0.82aB
40 9.00±0.00bA 8.33±1.21bA 8.25±0.50bA 8.00±0.00bA 6.00±0.82aA 5.50±0.58aA 6.25±0.50aA

Values are means±SD.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Download Excel Table

이취(off-flavor)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25 및 35℃에서는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40℃의 경우 저장 4개월부터 유의 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전반적 기호도(overall acceptance)는 저장 3개월 동안 모든 구에서 유의적차이는 없었다. 저장 4개월부터 25 및 35℃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40℃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저 장 6개월의 25, 35 및 40℃에서는 각각 8.00, 8.00 및 6.25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귀뚜라미 분말을 40℃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 시 품질이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며, 저장기간 중 일정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향(Flavor) 의 결과값을 유통기한 설정지표로 판단하였다.

자가규격 및 유통기한 설정

귀뚜라미 분말의 자가규격 및 유통기한 설정은 Table3에 나타내었다. 자가규격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 정에 관한 규정(21) 및 식품공전(18)의 규격 외 일반가공식 품의 기준 및 규격을 참고하여 기준규격보다 높게 적용하였 다. 수분 및 산가의 자가규격은 5% 및 3 mg KOH/g 이하로 설정하였으며, oleic acid 및 관능검사 중 flavor 항목은 26.5 g/100 g 및 6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색도, VBN 및 미생물 항목은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결과값이 유통기한 변수로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아 제외하였다. 유통온도를 25℃로 설정한 뒤 수분함량 및 산가의 유통기한 산출결과 23 및 61개월로 확인되었으며, oleic acid 및 flavor 항목은 150 및 155개월로 산출되었다. 결과 중 유통기한이 가장 짧은 수분함량 항목에 안전계수 0.8을 곱하여 최종 18개월 의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Table 3. Self-specification and shelf life for cricket powder
Experiment Quality limits Shelf-life (months)
Moisture <5.0% 23
Acidvalue <3.0mgKOH/g 61
Oleicacid >26.5g/100g 150
Flavor >6 155
Download Excel Table

요 약

식용 귀뚜라미를 고압증기멸균한 뒤 동결건조하였으며,이를 분쇄하여 AL/PET/LLDPE film에 포장 후 25, 35 및 40℃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며 한 달 간격으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중 모든 구에서 증가하 였으나, 저장 6개월 차에 저장온도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산가의 초기값은 1.83 mg KOH/g 이였으며, 저장 6개월 차에 25, 35 및 40℃ 저장구는 1.93, 2.04 및 2.15 mg KOH/g 으로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24.79, 28.58 및 28.55 g/100 g으로 높은 함량 을 나타내었으며,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는 저장온도 별 증·감소의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oleic acid는 저장 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 군은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경우 25 및 35℃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40℃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장기간 중 품질에 영 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한계 기준을 각각 5%, 3 mg KOH/g, 26.5 g/100 g 및 6으로 설정하여 유통온도 25℃를 기준으로 VSLSF 프로그램으로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의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23, 61, 150 및 155개월이었으며, 유통기한이 가장 짧은 항목에 안전계수 0.8을 적용하여 18개월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 과는 제조 후 25℃ 유통조건에서 18개월까지는 귀뚜라미 분말의 품질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책과제(PJ009827)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Kwon DH. 2012; 2050 World food demand prospects. World Agriculture. 139 p. 41-54.

2.

Huis AV, Itterbeeck JV, Klunder H, Mertens E, Halloran A, g Muir, Vantomme P. 2013;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FAO Forestry paper. 171 p. 1-185

3.

Kim MA, Hwang JS, Yun EY, Kang PD. 2014; Edible & medicinal insects.. RDA Interrobang. 119 p. 5-6.

4.

Hwang SY, Choi S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mealworm(Tenebrio molitor).. Korean J Cul Res. 21 p. 104-115

5.

Kwon EY, Yoo JM, Yoon YI, Hwang JS, Goo TW, Kim MA, Choi YC, Yun EY. 2013; Pre-treatment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as an ingredient for novel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p. 397-402

6.

Kim EM, Lim JH, Chang YJ, An SH, Ahn MY. 2015;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icket (Gryllus bimaculatus) under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2 p. 218-224

7.

Hwang SY, Bae GK, Choi SK. 2015;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of Tenebrio molitor(Mealworm) according to cooking method.. Korean J Cul Res. 21 p. 100-115

8.

Choi JH, Kim DI, Park SH, Baek SJ, Kim NJ, Ryu KS. 2003; Development of anti-diabetes drink using with silkworm (Bombyx mori L.)extract.. Korean J Seric Sci. 45 p. 96-102.

9.

Cho CH, Cha WS, Kim JS. 1989; Effect of temperature, time and pH on the extraction of protein in a chrysalis of silk worm.. Korean J Biotechnol Bioeng. 4 p. 65-68.

10.

Cho MR, Choue RW, Chung SH, Ryu JW. 1998; Effects of silkworm powder 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in NIDDM (Type Ⅱ) patients.. J Nurt Health. 31 p. 1139-1150.

11.

Margaret G, Pensri W, Laurence D. 1989; Fatty acid and lipid analysis of th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Insect Biochem. 19 p. 767-774

12.

Jung CE. 2013; Prospects of insect food commercialization; a mini review.. Korean J Soil Zoology. 17 p. 5-8.

13.

Kim EM, Kim DH, Lim JH, Chang YJ, Lee YH, Park JJ, Ahn MY. 201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dible cricket (Gryllus bimaculatus) in different districts.. Korea J Food Preserv. 22 p. 831-837

14.

Park KT. 2001; Insect resources. World science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 202.

15.

Seo DH, Hwang SY, Han JH, Koh SK, Kim IS, Ryu KS, Yun CY. 2004; Immune-enhancing activity screening on extracts from two crickets, Gryllus bimaculatus and Teleogryllus emma.. Entomol Res. 34 p. 207-211

16.

Klunder HC, Wolkers-Rooijackers J, Korpela JM, Nout MJR. 2012; Microbiological aspects of processing and storage of edible insects.. Food Control. 26 p. 628-631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8.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2015 Food code.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 Seoul, Korea..

19.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chem. 226 p. 497-502.

20.

Morrison WR, Smith L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p. 600-608.

21.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2014 Approval of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and ingredients.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22.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p. 513-520.

23.

Kwon OH, Ryu JA, Kang DK, Choe SY, Lee HR. 2010;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dried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 Korean J Food Preserv. 17 p. 777-783.

24.

Chung MY, Lee JY, Lee JC, Park KS, Jeong JP, Hwang JS, Goo TW, Yun EY. 2014; Establishment of self-specification and shelf-life by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lyophilized Tenebrio molitor larvae.. J Seric Entomol Sci. 52 p. 73-78

25.

Shin SK, Kim HJ, Kim MR. 2014; Effects of mulberry concentrate on lipid oxidation of Yackwa during its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21 p. 483-490

26.

Queiroz MI, Treptow RO, Queiroz EG. 1993; Sensory scale for evaluation of freshness of fish stored in ice.. B Do CEPPA. 11 p. 91-102.

27.

Hutchins R FN, Martin MM. 1968; The lipids of the common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L. Ⅰ Lipid classes and fatty acid distribution.. Lipids. 3 p. 247-249

28.

Grapes M, Whiting P, Dinan L. 1989; Fatty acid and lipid analysis of th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Insect Biochem. 19 p. 767-774

29.

Kim HS, Jung CE. 2013;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dible insects as potential food materials.. Korean J Apiculture. 28 p. 1-8.